파독전시관 배너

파독전시관

2014년 6월 28일 개관한 파독전시관은

사랑하는 가족을 두고 머나먼 독일로 건너가야 했던 경제 역군들의삶과 애환, 역사를 널리 전하고자 건립되었습니다.
남해군을 대표하는 역사·문화 공간으로 자리매김해온 파독전시관은리모델링의 과정을 거쳐 파독 근로자들의 도전과 희생,독일마을 정착까지의 여정을 더욱 생생하게 전할 수 있는 공간으로 재탄생하였고,



2025년 9월 5일 재개관했습니다.

흰쌀밥조차 귀했던 시절, 가난한 조국과 가족을 위해파독의 삶을 선택한 파독 근로자들의 이야기.젊은 날 독일에서 느꼈던 고단함과 외로움.이국 만 리 타국의 경험이 만들어낸 치열한 삶의 조각들을더욱 생생하게 만나보세요.

파독 전시관

새로움과 두려움 앞에서
꿈을 안고 떠나다

파독전시관의 입구에 들어서면, 1970년대 김포공항 로비의 모습이 펼쳐집니다.로비와 탑승교를 지나 독일행 비행기 내부까지 오르면. 꿈꿈을 안고 독일로 향하는 파독 근로자들의. 감정이 고스란히 전해집니다.

긴 시간을 달려 드디어 도착한 독일,낯선 언어와 낯선 땅을 표현한 미디어아트 연출을 통해당시 파독 근로자들의 불안감과 혼란스러움이 느껴집니다.

Slide 0
Slide 1
Slide 2
Slide 3
Slide 4
Slide 5
작업자 아이콘작업자 아이콘

“글뤽 아우프“ 광부의 삶, 그리고
“코리아 엥헬“ 간호사의 삶

어둡고 좁은 지하 1,200m 막장으로 향하는 길을 지나면파독 광부들이 일했던 작업장이 펼쳐집니다.험난했던 작업 환경 연출과 다양한 전시 유물을 통해광부들이 이방인으로서 겪었을 외롭고 힘겨웠던독일에서의 삶도 확인 할 수 있습니다.광부들은 오로지 ‘글뤽 아우프(살아서 돌아오라)’를 외치며 가족과 조국의 미래를 위해 힘든 노동을 견뎠습니다.

이어 한국에서 날아온 백의의 천사,‘코리아 엥헬‘이라 불린 파독 간호사의 방으로 들어섭니다.낯설었던 독일 병원에서의 적응 이야기를 담은 전시 공간입니다.파독 간호사는 성실함으로 낯선 서양 문화와 언어의 벽을 넘고,그리움을 담은 편지 한 장으로 향수병와 외로움을 달랬습니다.

Slide 0
Slide 1
Slide 2
Slide 3
Slide 4
Slide 5
Slide 6
Slide 7
작업자 아이콘

조국을 꽃피운 사람들,
젊음의 종착역 남해에 닿다

파독근로자들이 일군 성과와 독일에서의 생활을 엿볼 수 있는 기증 다양한 기증 유물들이 전시된 공간으로 이어집니다.

파독 근로자들의 독일에서의 삶이 외롭기만 했던 것은 아닙니다. 험난하고 치열했던 삶 속에서도 그들만의 안정된 생활을 찾고 오랜 시간 적응하며 정착해 살아왔습니다.



유물 기증자들의 기념 명패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고국으로 돌아온 파독 근로자들의 이야기와남해 독일마을의 조성 과정을 한눈에 볼 수 있는‘젊음의 종착역'에 다다르게 됩니다.독일마을을 만든 이름들을 하나하나 살펴보다보면자연스레 독일마을로 발걸음이 향하게 될 것입니다.

Slide 0
Slide 1
Slide 2
Slide 3
Slide 4
Slide 5
Slide 6

영상으로 보는 파독 이야기, 아카이브 기록관

꿈을 안고 독일로 건너갔던 파독 근로자들의 파독 배경과 애환에 대한 이야기가 고스란히 담겨있는 영상과독일마을 주민들의 인터뷰 내용을 볼 수 있는 미디어 공간입니다.

더불어 파독 광부·간호사의 역사와 그들의 유물에 대한 이야기를살펴볼 수 있는 프로젝션 북도 체험해볼 수 있습니다.

Slide 0
Slide 1
Slide 2

파독 근로자 만나보기

서부임 파독근로자
서부임 파독근로자
“우리의 노력이 한국의 발전에 도움이 됐다는 말을 들으면 제가 오히려 고맙습니다.”
하봉학, 윤명희 파독근로자
하봉학, 윤명희 파독근로자
“국가를 위해 파독근로자가 됐다는 말은 부담스러워요. 하지만 독일에 살며 일상 속에서 애국 아닌 애국을 하며 지낸 건 분명하죠.”
배정일 파독근로자
배정일 파독근로자
“처음 독일에 가려고 마음먹었을 때의 꿈과 독일에서의 꿈이 달라졌어요. 독일은 제가 더 큰 세상을 꿈꿀 수 있도록 한 곳입니다.”
권광순 파독근로자
권광순 파독근로자
“쉽게 변하지 않는 묵직함, 무거움, 내면의 저력. 이것이 독일마을이 지켜야 할 문화가 아닐까요.”
양경희 파독근로자
양경희 파독근로자
“독일에 가게 됐을 때 제 나이가 만 스물셋이었는데 김포공항에서 식구들이 울고 그랬죠. 제가 갈 때 150명 젊은이들이 한 비행기를 타고 독일로 갔었어요.”
김우자 파독근로자
김우자 파독근로자
“고향이 그저 그리운 것이지. 아주 오래된 돌멩이처럼. 오래된 돌멩이 밑에는 이끼만 껴요.”
김경자 파독근로자
김경자 파독근로자
“독일에 있었기 때문에 하고 싶은 일을 많이 하며 살 수 있었습니다. 파독은 제 인생에 많은 것을 가져다준 감사한 기회였다고 이야기하고 싶어요.”
신병윤,서원숙 파독근로자
신병윤,서원숙 파독근로자
“파독근로자로 선진국에서 20년을 살아냈다는 자부심이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파독의 역사에 대해 더 궁금해하고, 더 많이 질문했으면 좋겠습니다.”
문영숙 파독근로자
문영숙 파독근로자
“독일은 저에게 좋은 기회였어요. 독일에서 일하며 사람의 가치, 사람으로서의 행복을 느꼈어요. 무슨 일을 하든 사람이 먼저인 곳이었으니까요.”
이정희 파독근로자
이정희 파독근로자
“파독 근로자들은 서울도 아닌 독일까지 가서 자신의 부모, 형제, 나라를 위해서 열심히 돈을 벌어 송금했던 훌륭 한분들이기에 존경합니다.”
이병종 파독근로자
이병종 파독근로자
“독일에서의 경험은 내 삶의 전환점이었어요. 독일에서 책임감과 인내를 배우게 되 었고, 삶을 서두르지 않게 되었습니다. 독일에서는 모든 걸 스스로 해결해야 했기 때 문에, 책임감이 없으면 독일에서 살 수 없었어요.”
석숙자 파독근로자
석숙자 파독근로자
“20대 청춘을 다 바쳐 일한 독일 그리고 독일마을은 마음의 고향입니다. 주변 사람들 에게 꼭 한번 와보기를, 이곳에서 누리고 있는 것들을 함께 공유하고 싶어요.”
류길자 파독근로자
류길자 파독근로자
“꿈꾸었던 집을 짓고 나서 아침마다 바다를 보면 영혼이 안정돼요. 이곳이 파독근로자 주민들이 건강을 지키면서 살아가는 아름다운 종착역이 되길 진심으로 바라요.”

오시는 길

관람안내

관람료

관람료

1,000
주소

주소

경남 남해군 삼동면 독일로 89-7
관람 시간

관람 시간

09:00 ~ 18:00
문의 연락처

문의 연락처

055-860-3540
휴관일

휴관일

(화요일 휴무)